오늘은 경상북도 구미시 인구수와 성별 연령별 인구변화 및 행정구역별 인구수, 세대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통계청과 행정안전부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적용기간은 2011년 부터 2020년까지입니다.
1. 경상북도 구미시 전체 인구수 추이.
구미시의 인구수는 2017년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감소추세로 돌아섰습니다.
특히 최근 들어 인구감소속도가 빨라진 것 같습니다.
참고로 대한민국 전체 인구추이가 궁금하시면 아래 글 참조 부탁드립니다.
대한민국 인구수 (성별, 연령별 우리나라 한국 인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한민국 전체 인구수 및 성별 연령별 인구변화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간은 2011년 부터 2020년까지이며, 출처는 통계청 통계데이터 입니다. 1. 대한민국 전체 인구
lifeandwork.tistory.com
2. 경상북도 구미시 행정구역별 인구수, 세대수 및 1인당 세대수.
2020년10월 |
|||
구분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구미시 |
416,722 |
179,140 |
2.33 |
구미시 선산읍 |
15,063 |
6,803 |
2.21 |
구미시 고아읍 |
36,522 |
13,892 |
2.63 |
구미시 무을면 |
1,873 |
1,016 |
1.84 |
구미시 옥성면 |
1,741 |
935 |
1.86 |
구미시 도개면 |
2,212 |
1,150 |
1.92 |
구미시 해평면 |
4,135 |
2,169 |
1.91 |
구미시 산동면 |
26,621 |
10,437 |
2.55 |
구미시 장천면 |
3,165 |
1,610 |
1.97 |
구미시 송정동 |
24,554 |
10,655 |
2.30 |
구미시 원평1동 |
3,835 |
2,765 |
1.39 |
구미시 원평2동 |
3,266 |
1,940 |
1.68 |
구미시 도량동 |
30,200 |
11,912 |
2.54 |
구미시 지산동 |
2,282 |
1,093 |
2.09 |
구미시 선주원남동 |
39,647 |
16,110 |
2.46 |
구미시 형곡1동 |
14,798 |
5,917 |
2.50 |
구미시 형곡2동 |
17,200 |
7,095 |
2.42 |
구미시 신평1동 |
3,317 |
1,936 |
1.71 |
구미시 신평2동 |
3,266 |
1,535 |
2.13 |
구미시 비산동 |
6,327 |
2,805 |
2.26 |
구미시 공단1동 |
6,943 |
2,652 |
2.62 |
구미시 공단2동 |
4,464 |
2,150 |
2.08 |
구미시 광평동 |
4,416 |
2,079 |
2.12 |
구미시 상모사곡동 |
30,520 |
12,557 |
2.43 |
구미시 임오동 |
19,200 |
7,299 |
2.63 |
구미시 인동동 |
48,672 |
22,102 |
2.20 |
구미시 진미동 |
16,053 |
10,422 |
1.54 |
구미시 양포동 |
46,430 |
18,104 |
2.56 |
그럼, 이어서 구미시의 성별, 연령별 인구현황에 대해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3. 경상북도 구미시 성별 인구수 추이 및 인구수 비중.
(1) 구미시 남자 인구 추이 및 인구 비중.
구미시의 남자 인구 비중은 지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국 인구 현황을 보면 남자인구 비중은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데요, 구미의 인구는 반대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참고로 경상북도 전체 인구현황과 비교를 원하신다면 아래글 참조 부탁드립니다.
경상북도 인구수 (성별, 연령별 경북 인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상북도 전체 인구수 및 성별 연령별 인구변화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간은 2011년 부터 2020년까지이며, 출처는 통계청 통계데이터 입니다. 1. 경상북도 전체 인구
lifeandwork.tistory.com
(2) 구미시 여자 인구 추이 및 인구 비중.
구미 지역의 여자 인구 비중은 지속 감소하여 2020년 현재 48.7%까지 줄어들었습니다.
참고로 구미 인근 핵심도시인 대구광역시의 인구현황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 참조 부탁드립니다.
대구광역시 인구수 (성별, 연령별 대구 인구)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구광역시 전체 인구수 및 성별 연령별 인구변화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기간은 2011년 부터 2020년까지이며, 출처는 통계청 통계데이터 입니다. 1. 대구광역시 전체
lifeandwork.tistory.com
그럼, 이어서 본 글의 핵심인 구미시의 연령별 인구수 추이 및 인구 비중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4. 경상북도 구미시 연령별 인구수 추이 및 인구수 비중.
(1) 구미시 2020년 연령별 인구 추이 및 인구 비중.
구미시는 35~54세까지의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가 주력 인구계층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구미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많은 결과로 보입니다.
구미시도 젊은 인구 감소 현상이 뚜렷하지만 전국 평균 대비해서는 양호한 편입니다.
(2) 구미시 2011년 연령별 인구 추이 및 인구 비중.
2011년 구미시 인구현황을 보면 2020년 보다도 더 젊고 역동적인 모습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25세~49세까지가 주력 인구 계층이었으며, 19세 미만의 어린 인구 비중도 다른 지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양호했습니다.
(3) 구미시 2011년 대비 2020년 연령별 인구수 변화.
다만, 2011년 대비 2020년의 연령대별 인구증감을 그래프로 그려보면 구미시도 전국적인 노령화 현상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55~64세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고, 65세 이상 인구도 전체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면 44세 이하 젊은 계층은 인구수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특히 구미지역의 노인인구 증가율은불과 9년만의 수치로 보기에는 믿기 어려울 만큼 너무나 높습니다.
구미의 60~64세 인구는 122.8% 증가하였고, 85세 이상 인구도 2배씩 늘어났습니다.
반면 구미시의 젊은 인구는 10~30% 수준씩 감소 중입니다.
이렇게 노령화가 지속되고 젊은 인구가 감소하면 어떤 현상이 일어날까요?
먼저 소득과 소비가 줄어들게됩니다.
경쟁의 심화로 과거대비 은퇴시기는 빨라지지만 오래 살아야 하기 때문에 소비를 적극적으로 하기 어렵습니다.
반대로 저축성향은 높아집니다.
이렇게 되면 경제성장율이 선진국처럼 둔화되고 (이미 둔화되었지만), 낮아진 성장률에 따라 금리는 저금리 기조를 이어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리는 경제성장율에 연동되는 성격이 강합니다.
노령화와 저성장이 지속되면 은행은 투자할 곳이 별로 없는데, 은행에 예금하고 저축하고자 하는 사람은 많으니 높은 예금금리를 은행이 줄 필요가 없어집니다.
예금금리가 낮으면 노후생활은 더욱 불안해집니다.
그렇다고 위험한 주식에 투자하기도 망설여집니다.
집값, 부동산은 어떨까요?
서울 및 대도시 핵심지역 부동산은 계속 오를 수 있겠지만, 낮은 금리 기조에도 지방의 부동산 가격은 쉽게 오르지 못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노령인구가 급증하면서 떨어진 소득을 보충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부동산자산을 줄이거나, 역모기지론과 같이 정부/금융 대출을 받아 생활을 이어나가는 인구도 늘어나게 됩니다.
역모기지론 또는 주택담보대출을 받은 부동산은 해당 주인이 세상을 떠난 후 주택담보대출을 갚고 나면 자식들에게 그 다지 돈 되지 않는 유산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인근 일본의 사례를 봐도 잘 알 수 있습니다.
노령화가 일찍 진행된 일본은 장기 저금리, 불황과 함께 지방 곳곳의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고 심지어 사람이 살지 않는 유령도시처럼 변해가고 있는 곳도 많습니다.
은행금리는 거의 0%에 가깝다고 하지요.
일본은 제로금리, 마이너스 금리의 선도국 이기도 합니다.
보험은 어떨까요?
금리가 낮아지면 보험사는 채권등에 투자해서 적정 수익을 얻기 어려워집니다.
반면에 보험금은 계속 지급해야하지요.
그래서 장기 저금리 속에 수 많은 일본 보험사들이 파산했습니다.
나이는 들어가는데 은행예금에 넣어도 금리가 낮아 이자를 못받고, 하나 밖에 없는 부동산 가격은 떨어지고 또 팔리지도 않고, 그나마 믿었던 보험사는 파산한다??
그리고 이런 인구들이 많이 있는 지역이라면?
생각만해도 아찔합니다.
노령화는 은행 금리, 대출, 보험, 부동산, 지역경제를 포함한 우리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리고 우리는 아직 이러한 현실을 맞닥드릴 준비가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치열하게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통계 자료 > 국내 인구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주시 인구수 (성별, 연령별, 행정구역별 원주 인구 및 세대수) (0) | 2020.11.14 |
---|---|
경기도 광주시 인구수 (성별, 연령별, 행정구역별 광주시 인구 및 세대수) (0) | 2020.11.09 |
의정부시 인구수 (성별, 연령별, 행정구역별 의정부 인구 및 세대수) (0) | 2020.11.07 |
파주시 인구수 (성별, 연령별, 행정구역별 파주 인구 및 세대수) (0) | 2020.11.07 |
김포시 인구수 (성별, 연령별, 행정구역별 김포 인구 및 세대수) (0) | 2020.11.07 |